비비고의 습격, 이젠 일본 소도시 마트에서도 만난다
본문 바로가기
일본여행

비비고의 습격, 이젠 일본 소도시 마트에서도 만난다

by 현해탄 넘어 2025. 4. 14.

– K-푸드 브랜드의 글로벌화, 그리고 생활 속 한식의 자리잡기


예전엔 코스트코나 H마트에서나 보였던 비비고, 지금은 동네 마트 냉동칸에서도 만납니다

 

CJ제일제당의 대표 K-푸드 브랜드 **비비고(Bibigo)**는 이제 단순한 ‘한식 브랜드’를 넘어서
글로벌 냉장고 속의 일상 브랜드로 진화하고 있습니다.

 

몇 년 전만 해도 일부 소비자, 또는 해외 교포 중심의 브랜드였지만,
2025년 현재는 일본을 포함한 전 세계 마트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는 K-푸드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했습니다.


🥟 비비고는 어떤 브랜드인가요?

  • 2010년 론칭한 CJ제일제당의 글로벌 한식 전문 브랜드
  • 브랜드 의미: “비비다(섞다) + go(세계로)”
  • 대표 제품: 만두, 김치, 비빔밥, 전골, 국류, 반찬, 도시락, 김
  • 50여 개국에 수출, 세계적인 K-푸드 대표주자

🛒 “이제는 그냥 동네 마트에서도 보인다”

최근 몇 년 사이, 비비고의 유통망은 전문 한류 매장을 넘어 로컬 마트까지 확대되었습니다.

✅ 한국에서는

  • 이마트, 롯데마트, 홈플러스, 하나로마트 등 주요 오프라인 유통망에 전 제품 라인업 입점
  • 냉동식품뿐 아니라 **간편국, 도시락, 김치전, 육개장 등 프리미엄 가정간편식(HMR)**도 인기

✅ 일본에서도

  • 대도시뿐 아니라 지방 소도시, 관광지 인근 마트까지도 진출 중
  • 이온(イオン), OK스토어, 돈키호테, 드럭스토어 등에서 만날 수 있음

📍 일본 소도시에서도 만나는 비비고

최근 일본 소도시 여행 중에도 비비고 제품을 만나는 일이 잦아졌습니다.

예: 홋카이도 하코다테 / 기후현 다카야마 / 오이타 / 나가노 / 시즈오카 등

  • 냉동식품 코너에 비비고 왕교자, 비빔밥 컵
  • 반찬 코너에는 김, 불고기 덮밥소스
  • 드럭스토어 식품코너에는 스낵형 김과 컵국물

💬 “한식이 아니라 그냥 ‘전자레인지 간편식’ 중 하나로 인식돼요.”
💬 “지방이라 한식은 없을 줄 알았는데, 냉동칸에 비비고가 있어서 반가웠어요.”

일본 가정의 식탁에 ‘한식=비비고’가 자리잡고 있는 것, 그 자체가 놀라운 변화입니다.


🌍 비비고의 글로벌 유통 현황


국가 유통망 인기제품
🇺🇸 미국 월마트, 트레이더조, 코스트코 만두, 김치, 비빔밥
🇯🇵 일본 이온, 돈키호테, OK스토어 등 왕교자, 김, 국류, 컵비빔밥
🇫🇷 프랑스 Monoprix 등 현지 마트 김치, 조미김
🇻🇳 베트남 로컬 슈퍼, 온라인몰 불고기, 찌개류

단순한 교포용 제품이 아닌, 현지인을 위한 포장・맛・조리법 최적화 전략이 핵심입니다.


📈 비비고의 성공 전략은?


전략 설명
🌐 글로벌 현지화 언어・맛・조리방식 맞춤 설계
🥇 제품력 유지 만두・김치 등 핵심 제품군 일관성 유지
📱 디지털 마케팅 BTS, 손흥민 등과 연계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
🛍 유통 채널 다양화 한류 마켓 → 로컬 마트까지 확장
🧠 포지셔닝 전환 “한식” → “전자레인지식”, “라이프스타일 식품”으로 변화

🤖 소비자 입장에서 느껴지는 변화

  • 냉동만두, 국물요리, 비빔밥 → 피자, 햄버거만큼 일상적인 식품이 됨
  • 한식이 아니라 그냥 간편식 옵션 중 하나
  • “비비고니까 믿고 사는” 브랜드 인식 형성

✅ 마무리: 비비고는 콘텐츠가 아닌 ‘생활’이 되었다

한류가 드라마, 음악에서 시작됐다면
비비고는 이제 식탁 위의 한류, 즉 생활형 K-라이프스타일 브랜드입니다.

집에서도, 여행지에서도, 도쿄든, 다카야마든…

“비비고 하나쯤 냉장고에 있는 건 당연한 시대”가 된 지금.

비비고는 진짜 K-푸드의 대중화를 완성해가고 있습니다.


TOP

Designed by 티스토리